"이미 받은 것처럼 감사하라" : 성경과 양자역학 , 시크릿의 연관성
신약 성경의 “이미 받은 것처럼 감사하라”는 가르침은 믿음과 감사의 태도를 강조합니다.
“이미 받은 것처럼 감사하라”는 성경의 구절은
양자역학의 원리와 자기계발서 시크릿(끌어당김의 법칙)에서 말하는 긍정적 사고와 연결될 수 있습니다
비록 성경이 양자역학이나 자기의계발 이론을 바탕으로 쓰여진 것은 아니지만,
성경,양자역학,시크릿간의 유사성을 통해 흥미롭고 놀라운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1. 성경에서 말하는 "이미 받은 것처럼 감사하라"
신약 성경은 믿음과 감사가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강조합니다.
마르코복음 11:24
“너희가 기도하고 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받은 줄로 믿어라. 그러면 너희에게 그대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 구절 또한 우리가 믿음으로 하느님께 기도할 때,
마치 이미 응답받은 것처럼 감사하라는 가르침을 담고 있습니다.
이 믿음은 현재의 상황을 넘어 미래의 가능성을 현실로 만들 수 있는 힘을 가진다고 말합니다.
필립보서 4:6-7
“아무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안이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
감사의 태도는 불안을 제거하고 평화를 가져옵니다.
이러한 믿음은 긍정적인 에너지로 우리의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2. 양자역학과의 연관성
양자역학은 물리학의 한 분야로, 관찰자가 물질의 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대표적인 예로 이중 슬릿 실험이 있습니다.
관찰자의 개입 여부에 따라 전자나 빛이 입자나 파동으로 움직임이 달라지는 이 실험은,
의식과 현실이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이 원리를 성경의 가르침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 믿음이 현실을 창조한다.
성경에서는 믿음이 우리가 바라고 소망하는 것들의 구현이라고 말합니다.
양자역학에서는 우리의 관찰이나 의도가 현실을 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봅니다.
- 긍정적 에너지의 중요성
시크릿(끌어당김의 법칙)에 따르면,
긍정적인 믿음과 감사는 높은 에너지를 발산하여 원하는 결과를 끌어당깁니다.
양자역학에서도 모든 물질과 에너지는 특정한 진동을 가지고 있으며,
감사와 같은 긍정적인 상태가 더 높은 진동을 만들어낸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 가능성을 현실로 만든다
관찰이 물질의 파동,입자를 결정짓고 바꾸듯이
성경에서 감사와 믿음은 보이지 않는 우리의 소망을 하느님의 관찰로
실현 가능성으로 바꾸는 도구로 작용합니다.
3. 시크릿(끌어당김)과의 연관성
시크릿은 우리가 원하는 것을 끌어당기기 위해 긍정적인 사고와 감정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성경에서도 유사한 메시지를 찾을 수 있습니다.
마태복음 21:22
“너희가 믿고 구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다 받을 것이다.”
믿음은 단순히 수동적인 태도가 아니라, 이미 받은 것처럼 행동하고 감사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요구합니다.
시크릿에서 원하는 것을 시각화하고 그 감정을 미리 느끼라고 조언하는 원리와 유사합니다.
로마서 8:24-25
“우리가 보지 못하는 것을 바라면 인내로 기다릴지니라.”
기다림과 신뢰는 끌어당김의 법칙,시크릿에서 중요한 요소입니다.
우리의 믿음과 감사가 목표를 현실로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성경과 시크릿의 가르침은 연결될 수 있습니다.
4. 감사의 실천과 삶의 변화
감사는 단순한 감정 표현을 넘어 우리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옵니다.
현대 심리학 연구에서도 감사의 태도가 행복과 웰빙에 기여한다는 점이 입증되었습니다.
성경, 양자역학, 시크릿 모두 감사와 믿음을 강조하며,
감사와 믿음 이 우리의 생각과 에너지, 나아가 현실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줍니다.
5.결론 : 믿음과 감사가 만드는 놀라운 변화
성경의 가르침, 양자역학의 발견, 그리고 시크릿의 원리는
모두 믿음과 감사가 현실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맥을 함께 합니다.
성경의 “이미 받은 것처럼 감사하라”는 메시지는 단순한 신앙적 교훈을 넘어,
우리의 삶과 목표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실천적인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명상♣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서안에 이미 양자역학 (0) | 2024.12.09 |
---|---|
’합이 맞는 사람?‘ 뇌의 과학이 알려주는 궁합 판단법 (0) | 2024.12.08 |
좌뇌의 오류와 거짓 속삭임 (0) | 2024.12.06 |
집단 부정적 에너지- 펜들럼(Pendulum) (0) | 2024.12.05 |
트랜서핑 에너지(Transurfing Energy)-삶의 방향 키 (0)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