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상♣기도

초점의 법칙 - ‘말’의 힘

by 감사하며 행복하기 2024. 12. 22.
반응형

초점의 법칙(Focus Law) : 긍정적  이 삶을 바꾸는 힘

초점의 법칙' 개념은 언어와 사고가 우리의 감정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심리학적 관점에서

출발한 것으로종종 '긍정적 초점의 법칙',  또는 NLP(신경언어프로그래밍) 이론에서 다뤄지기도 합니다.

초점의 법칙은 '무엇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우리의 생각과 행동이 달라진다는 원리를 말합니다.

특히 우리의 사고와 행동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의 긍정성과 부정성에  따라 크게 달라지고

이것은 주변 사람들과 자신의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초점의 법칙은 말과 사고에서 긍정적인 표현에 초점을 맞춰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내는 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조심히 운전해는 '조심히'라는 말 속에서 사고나 위험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연상시키는 반면,

안전하게 운전해는  '안전하게'라는 말이 긍정적인 상태에 초점을 맞추는 표현입니다.

위의 예시처럼 부정적인 표현은 부정적인 감정을 연상시키며 긴장감과 불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면, 긍정적인 표현은 자신감과 안정감을 주어 더 나은 결과를 만들어냅니다

초점의 법칙이 우리 일상의 삶에서 왜 중요하며

우리가 어떻게 초점의 법칙을 삶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지를 알아볼까 합니다.

 

초점의 법칙의 중요성

▣ 무의식에 영향을 준다

우리의 뇌는 "뛰지" 와 같은 부정적인  말보다 "천천히 걸어"라는 표현이 더 안전한 행동을 유도합니다.

  감정에 영향을 미친다

부정적인 표현은 듣는 이로 하여금 불안감, 두려움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긍정적인 표현은 안정감과 자신감을 전달합니다.

 행동을 유도한다

초점을 어디에 맞추는지는 곧 행동의 방향을 결정합니다.

긍정적 언어에 초점을 두면 원하는 행동을 더 쉽게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초점의 법칙 실천 방법

▣  긍정적인 언어로 바꾸기

일상에서 부정적인 표현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해보세요.

"하지 마대신 "이렇게 해보자."

"불편 할것 같아" 대신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막연한 부정 대신,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행동을 유도하는 표현을 사용하세요.

"미루지 마" "지금 바로 시작하면 오늘 다 할 수 있어."

"혼내지 마" "차분히 설명해주면 내가 이해하기 좋을 것 같아."

  현재에 초점 맞추기

과거의 실수나 미래의 불안이 아닌, 현재를 중심으로 표현하세요.

"그때 잘못했잖아." "이번엔 이렇게 해보자."

"불안한 상황이 오면 어떡하지?"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걸 해보자."

  칭찬과 격려 사용하기

긍정적 언어를 통해 상대방의 장점을 강조하고 동기를 부여하세요.

"왜 못 했어?" "이 부분은 정말 잘했어. 다음엔 이걸 더 해보자."

 

 초점의 법칙과 삶의 변화

초점의 법칙은 단순한 언어 습관의 변화로 시작되지만, 결과적으로 삶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옵니다.

 부정적 언어는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반면, 긍정적 언어는 마음의 평화를 주고 스트레스를  감소시킵니다.

긍정적인 표현은 상대방에게 더 나은 인상을 주고 신뢰를 줄 수 있으며  관계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줍니다.

 자기 자신 스스로에게 긍정적 언어를 사용할 때 자존감이 높아지면서  자신감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초점의 법칙은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생각을 긍정적으로 바꾸어

원하는 행동과 결과를 이끌어내는 강력한 원칙입니다.

오늘부터는 부정적인 표현 대신 긍정적인 언어에 초점을 맞춰보세요.

우리 마음 속에 늘 도사리는 불안감이나 걱정이 우리의 긍정적이고 안정적인 '말'의 힘에 의해

건강하고 밝은, 긍정적 에너지로 우리의 삶이 가득 채워질것입니다.

"괜찮아~다 잘 되어가고 있어."  "감사합니다" 라고 우리 다 같이 말해보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