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연정보

클래식 공연의 커튼콜, 가식인가? 문화인가?

by 감사하며 행복하기 2025. 1. 28.
반응형


클래식 공연이나 뮤지컬을 관람하다 보면 공연이 끝난 후

이어지는 긴 박수와 커튼콜의 반복으로  피곤함을 느끼는 관객이 많습니다.

특히 클래식 공연에서는 연주자들이 무대에 나왔다 들어가기를 반복하다가 앵콜곡을 선보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관행은 왜 생겨났을까요? 그리고 관객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이 행태는 과연 개선될 수 있을까요?


▒  커튼콜의 유래와 의미
커튼콜(Curtain Call)은 공연이 끝난 후

출연진이 관객의 박수에 감사 인사를 전하기 위해 무대에 다시 나오는 것을 뜻합니다.

 

이 관행은 18~19세기 유럽에서 시작된 것으로,

당시 연극이나 오페라 공연이 끝난 후 관객의 호응에 따라

배우들이 무대에 다시 나오는 형식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는 공연자와 관객 간의 교감과 존중을 상징합니다.

 

▒  클래식 공연에서의 커튼콜과 앵콜

클래식 공연의 커튼콜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관행입니다.

유럽, 미국 등 클래식 공연이 활발한 나라에서도 연주가 끝난 후

관객이 박수를 치고 연주자가 무대에 나왔다 들어가는 방식은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각 나라의 공연 문화와 관객의 반응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클래식 공연의 커튼콜 과정에서

공연자가 나왔다 들어가는 과정은 관객의 박수를 통해 공연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고, 

앵콜(Encore) 곡을 준비할 시간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이는 음악적 소통을 강조하는 클래식 공연의 특성과 맞물려 

관객의 열정적인 반응을 유도하려는 측면도 있습니다.

  현대 관객의 피로감과 반응
현대의 관객은 긴 커튼콜이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공연의 진정성보다 형식적인 관행으로 보이기도 하며, 

관객이 의도치 않게 박수를 강요당하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는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느껴지며, 공연의 진정성을 해친다는 비판도 제기됩니다.

 이 관행은 왜 계속될까?
공연자 입장에서는 커튼콜은 그날의 공연에 대한 관객의 평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기회입니다. 

또한, 커튼콜을 통해 공연자의 노력과 관객의 감사를 표현하는 문화적 상징으로도 여겨집니다. 

하지만 관객 입장에서 가식적이거나 불필요한 반복이라고 느낄 수도 있습니다.

▒  커튼콜에 대한  개인적 생각과 바램
커튼콜과 앵콜은 공연 문화의 일부로서 

관객과 연주자 모두에게 기대되는 의례적인 행위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는 클래식 공연을 보고 올때마다

커튼콜과 앵콜에 대한 공연 문화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공연자가 나왔다 들어가는 반복 횟수가 많아질 경우, 일부 관객은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공연 제작자와 연주자들은 형식적인 반복보다는 진정성 있는 감사 표현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짧고 간단하게, 그리고 진정성 있게 관객과의 교감을 전하며 공연을 끝내는  방식이

오히려 관객들에게 더  깊이 그 공연을  마음속에 풍성하고 행복한 공연으로

기억하게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