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명상♣기도34

영적 제3의 눈 : 송과선의 비밀 송과선(Pineal Gland)은 뇌의 중심부에 위치한 작은 내분비 기관으로 , 소형 쌀알 크기(약 5~8mm)로, 뇌의 양측 대뇌반구 사이 깊숙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송과선의 이름은 그 형태가 소나무 열매를 닮았기 때문에 붙여졌습니다. 뇌 속에서 송과선은 시상(thalamus) 근처에 위치하며, 신경계와 내분비계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학적으로는 송과선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빛의 유무를 감지하여 멜라토닌의 생산을 조절하고  분비하는 것입니다. 멜라토닌은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호르몬으로, 밤에 분비가 증가하여 우리의 생체리듬(circadian rhythm)을 조율하는 "생체 시계"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송과선은 단순한 생리학적 기능 이상으로 인간의 의식과 영적인 경험에.. 2024. 12. 21.
‘끼리끼리’ ‘유유상종’의 어두운 면 왜 악한 사람들은 더 잘 뭉칠까?악한 사람들끼리 쉽게 뭉치고 서로를 방어하는 현상은 우리 삶 속에서 자주 목격됩니다. 이런 행동 패턴은 개인의 심리와 집단 심리에서 모두 설명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 결속력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으며, 결국 악은 무너질 수밖에 없습니다.왜 악한 사람들이 '끼리끼리'  '유유상종'  더 잘 뭉치는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그들의 결속이 오래가지 못하고  결국 무너질 수밖에 없는지 과학적, 심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볼까 합니다.  1. 악한 사람들의 결속 :  심리학적 이유▣  유사성 편향 (Similarity Bias)심리학에서는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가치를 가진 사람들에게 더 끌린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악한 행동을 하는 사람들은 이기적이고 비윤리적인 가치관을 공유하며,.. 2024. 12. 18.
죽음의 해탈 명상 : 《티벳 사자의 서》 1. 《티벳 사자의 서》란 무엇인가?'티벳 사자의 서(Tibetan Book of the Dead)'는 티벳 불교의 중심 사상인 죽음과 환생에 대한 가르침을 담은 고대 경전이다. 원래 이름은 '바르도 퇴돌(Bardo Thodol)'로, 이는 ‘죽음과 삶의 경계에서 해탈로 이끄는 가르침’이라는 뜻이다. 티벳 불교에서 죽음과 환생의 과정을 안내하는 실질적 지침서로, '티벳 사자의 서'는 주로 죽음을 맞이한 이들이 삶과 죽음의 중간 상태(바르도) 를 헤매는 동안 환생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생명을 다해 떠나는 영혼이 겪게 될 죽음의 공포를 벗어나  두려움을 초월하도록 돕고궁극적으로  죽음의 해탈로 이끌어 주는 실천적 명상과 기도를 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한다.죽음을 대비하는 태도와 죽음 이후의 여정을 명확히 .. 2024. 12. 17.
육체 안에 공존한 신성 : 예수의 슬픔과 고뇌 예수 그리스도는 성경에서 인간의 육체를 입고 세상에 오신, 신성과 인성이 한 몸에 공존하는 하느님의 아들로 묘사됩니다.  그분은 신성뿐만 아니라 인성을 지니셨기에 우리와 같은  인간적 나약함과 고뇌를 가지고 살아가셔야 했습니다. 예수님은 성인이 되어서 하늘로부터 이 세상에 나타나신 것이 아니고성모 어머님께  성령으로 잉태되어  인간의 아기처럼 성모님 태 안에 10개월을 머무셨고인간의 아기처럼 이 세상에서 출산되어  영아,유아,유년, 청소년,청년시절을 인간세상에서 성장하셨기 때문에더더욱  예수님 안에는 인성과 인간에 대한 사랑과 연민이 아주 깊게 자리잡았던 것 같습니다. 예수님의 인성은 성경 곳곳에서 드러나며, 우리 인간 세상에 오셔서   인간의 감정과 일상을 경험하시면서  우리 인간과  같은 삶을 살아가.. 2024. 12. 16.
초감각적 소통 방식 : 텔레파시 1.  텔레파시란 무엇인가?텔레파시(Telepathy)는 물리적 감각이나 언어를 사용하지 않고 마음과 마음이, 의식과 의식이  서로 연결된다고 여겨지는 초감각적 지각(ESP, Extra Sensory Perception)의 소통방식 입니다. 이 개념은 19세기 후반에 심령학 연구를 통해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누군가의 생각이 떠올랐는데 그 사람이 전화를 했다”거나 말하지 않았는데  상대방이 내 마음을 읽은 것 같거나 내가 상대방의 마음, 생각을  읽을 수있었던 경험을 하곤 합니다.가끔  천국을 다녀온 체험을 말하는 사람들의 다수가 천국에서는 입으로 말을 하지 않고 텔레파시로  의사소통을 한다고 하며 자기가 궁금해 하는 것을 생각하.. 2024. 12. 15.
장자의 나비는 시공간을 초월해 날아와 양자역학을 만났을까? 1.  장자의 나비 : 호접몽과 양자역학의 연결 고리 장자의 나비, 호접몽은 철학적 관점으로 "나비가 되어 날아다니던 꿈을 꾸었는데,내가 나비인지 나비가 나인지 알 수 없다"라는 이야기로 유명합니다. 이는 현실과 꿈의 경계를 허물며, 자아의 본질과 실재의 의미를 탐구합니다.양자역학은  입자와 파동의 이중성, 관찰자 효과, 그리고 확률에 기반한 실재를 제시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들 수 있는데, 고양이는 상자 안에서 죽음과 생존이라는 두 가지 상태를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개념은 우리가 "실재"라 여기는 것조차 관찰과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호접몽과 양자역학은 모두 현실의 유동성과 다층적 해석 가능성을 탐구한다는 공통점을 지닙니다. 장자는 꿈과 현실이 하나로 연결.. 2024.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