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상♣기도

성모 마리아님! 이슬람교에서도 존경받으신다구요?

by 감사하며 행복하기 2025. 1. 4.
반응형

이슬람교와 가톨릭의 연결고리

 유대교, 가톨릭과 이슬람교의 공통 뿌리를 설명할 때 구약성경 속의

'아브라함(이브라힘)'과 그의 두 아들 '이삭(이샤크)'과 '이스마엘(이스마일)'의 이야기가 핵심이다.

 

세 종교 모두 아브라함을 신앙의 조상으로 인정한다.
유일신( 야훼(유대교)하느님(가톨릭,개신교) /알라(이슬람)을 믿으며, 신과의 언약을 중요하게 여긴다.

 

유대교는 모세의 율법과 예언자 전통을 중심으로 신앙을 발전시켰다.
가톨릭(기독교)는 예수를 메시아로 보고, 그의 가르침과 부활을 신앙의 핵심으로 삼았다.
이슬람교는 무함마드를 마지막 예언자로 보고, 꾸란을 신앙의 핵심 경전으로 삼았다.

 아브라함과 그의 두 아들

구약의 아브라함은 세 아브라함계 종교[유대교, 가톨릭(기독교), 이슬람교]의 공통적인 조상으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  이삭(이샤크)과 유대교,가톨릭

아브라함의 둘째 아들인 이삭(이샤크)은

유대교와 가톨릭에서 아브라함의 적자이자 아브라함의 정식 후계자로 여겨진다.

이삭은 아브라함과 아내, 사라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유대 민족(이스라엘의 조상)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유대교에서는 이삭의 아들인' 야곱(이스라엘)'을 통해 12지파가 생겼다고 믿는다.

◈   이스마엘(이스마일)과 이슬람교

이스마엘은 아브라함의 첫째 아들이었지만 적자가 되지는 못했다.

그 이유는 이스마엘이 아브라함과 아브라함의 아내인 사라의 몸종이었던 하갈 사이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다.
'이스마엘' 이름의 뜻은 '하느님이 들으신다'이다.

 

사라의 아들 이삭이 태어난 후 사라의 요청으로

아브라함은 하갈과 이스마엘을 메카로 보냈고, 

이스마엘이 그곳에서 자라 아랍민족의 조상이자  이슬람의 뿌리가 되는 인물이라고 이슬람교는 믿는다.

 

이슬람교는 이스마엘의 후손에서 예언자 무함마드가 나왔다고 본다.
따라서 무함마드는 이스마엘의 혈통을 이어받은 예언자로 여겨지며,

이슬람은 아브라함의 신앙 전통을 계승했다고 주장한다.

성모마리아님과 아기 예수

 

가톨릭과 이슬람교에서 예수님과  성모마리아(마리얌)의  연결고리

 

이슬람교와 가톨릭(기독교)은 모두 유일신을 믿는 아브라함계 종교로, 유대교와 뿌리가 같다.

 

유대교는 아브라함, 이삭, 야곱을 비롯한 예언자들을 통해 하느님(야훼)을 믿는 신앙을 발전시켰고

가톨릭(기독교)는 유대교에서 분파되어 예수 그리스도가 메시아(구원자)임을 믿고 그의 가르침을 따랐다.

이슬람교는 유대교와 가톨릭(기독교)의 전통을 계승하며

아브라함의 큰 아들, 이스마엘의 자손 무함마드를 마지막 예언자로 믿는 종교이다.


따라서 이슬람교와 가톨릭(기독교)은 공통적으로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예언자와 인물들을 존중하며,

여기에는 신약의  성모마리아(마리얌)와 예수(이사)도 포함된다.

 

가톨릭과 이슬람 모두 예수(이사)를 중요하게 여기며, 그의 어머니인 성모마리아(마리얌) 도 공경한다.
가톨릭은 예수를 신성한 존재로 보지만, 이슬람은 그를 예언자 중 한 명으로 본다.

하지만 두 종교 모두 예수가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태어났다는 점에서는 의견이 일치한다.

 

◈   성모 마리아 이야기의 공유

가톨릭과 이슬람이 성모 마리아를 비슷하게 이해하는 이유는 

역사적 전승과 가톨릭의 성경 및 이슬람의 꾸란의 기록에 기인한다.

● 성모 마리아 : 가톨릭의 성경

 

성모 마리아는 가톨릭 신약성경에서 등장하며, 특히 예수 탄생 이야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성모 마리아 는 하느님의 선택을 받아 동정녀로서 예수를 잉태했다고 기록되어진다.(루카 1:26~38).

 

 마리얌(성모 마리아) : 이슬람교의 꾸란

 

이슬람교는 마리얌에 대한 이야기를 꾸란에서 다룬다.
꾸란은 예수 탄생 이야기를 언급하며,

마리얌이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을 받아 남자와 접촉 없이 예수를 잉태했다고 기록한다(꾸란 19:16~21).

이슬람교는 예수와 마리얌(성모 마리아) 이 유대교 전통에서 나온 인물임을 인정하며,

이 이야기가 무함마드 시대 이전부터 구전으로 전해졌다고 본다.

 

이슬람교는 마리얌을 가장 위대한 여성 중 한 명으로 존경한다. 

그녀는 꾸란에서 독립된 장인 "마리얌 장"(19장)을 통해 소개되며, 

그녀의 신앙과 순결함이 강조된다. 

 

성모마리아(마리얌)가  가톨릭과  이슬람교에서 존경받고 사랑받는 이유

◈  가톨릭에서의 존경받는 성모 마리아

가톨릭교회는 성모 마리아를 예수 그리스도의 어머니로, 구원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본다. 

성모 마리아는 하느님의 특별한 은총을 받아 죄 없이 태어난 존재(원죄 없는 잉태)로 믿어지며,

그녀의 순결함과 헌신은 그리스도인들에게 신앙의 본보기로 여겨진다.

1. 예수 탄생의 중심적 역할
마리아는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잉태하고 출산함으로써 구원 계획의 핵심 역할을 맡았다.

2. 순결과 헌신의 상징
마리아는 "하느님의 뜻대로 이루어지기를 원합니다"(루카 1,38)라는 고백으로 

하느님의 계획에 순종했다.

이는 신앙의 절대적인 본보기로 여겨진다.

3. 교회의 어머니
가톨릭교회는 성모 마리아를 모든 신자의 어머니로 존중하며, 

그녀가 하늘에서 인간들을 위해 중보기도(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에게 기도하는 행위)를 하신다고 믿는다.

◈  이슬람교에서  사랑받는 성모 마리아

1. 하느님의 특별한 선택
마리얌(성모 마리아)은 하느님의 은혜로 선택받은 존재로,

꾸란(3:42)에서는 "오 마리얌이여, 하느님이 너를 택하셨고 정화하셨으며,

세상의 모든 여성들 중에서 택하셨다"고 기록되어 있다.

2. 기적적인 예수 탄생
꾸란은 마리얌(성모 마리아)이 남자와의 접촉 없이 기적적으로 예수(이사)를 잉태한 사실을 기록한다.

이는  마리얌(성모 마리아) 하느님의 특별한 은혜를 받은 증거로 여겨진다.

3. 순결과 경건함의 상징
마리얌(성모 마리아)은 믿음의 본보기로, 경건하고 순수한 여성으로 묘사된다.

이는 모든 이슬람 신자들에게 영감과 본보기가  된다.

가톨릭과  이슬람교에서의 성모마리아(마리얌) 의 공통된 존중 

이슬람교와 가톨릭 모두 성모 마리아를 순결과 헌신의 상징으로 존중한다.

두 종교는 그녀의 믿음과 신앙을 본받아야 할 대상으로 삼으며,

하느님의 특별한 선택을 받은 존재로 여깁니다.

 

◈  구약과 신약의 연결

가톨릭과 이슬람은 모두 구약의 예언자들과 그들의 가르침을 존중한다.

성모마리아(마리얌)은 두 종교의 공통된 믿음 체계에서 중요한 연결고리로,

그녀의 이야기와 삶은 양쪽에서 비슷하게 받아들여진다.

◈   영적 본보기로서의 역할

성모마리아(마리얌)  가톨릭과 이슬람교,  

두 종교 모두에서 믿음과 순종, 경건함의 이상적인 모델로 여겨진다. 

그녀는 하느님 앞에서 순수하고 헌신적인 삶을 산 인물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신앙의 영감을 준다.

성모마리아(마리얌)에 대한  가톨릭과 이슬람교의 차이점

  가톨릭: 

성모 마리아는 삼위일체 신앙 안에서 "하느님의 어머니"로 여겨지며,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을 모두 포함한 어머니로 존경받는다.

가톨릭 신자들은 "성모송"과 같은 기도문으로  성모 마리아에게  중재를 구하는 중보기도를 청한다.

 

이슬람: 

마리얌은 하느님의 어머니로 여겨지지 않으며, 경건한 삶을 산 위대한 여성으로서만 기억된다.

예수님도 하느님의 아들이 아니라 위대한 예언자로 간주된다. 

이슬람에서는 알라 신(하느님 )이 유일하며, 인간과 신성의 분리를 엄격히 유지한다.
마리얌(성모 마리아) 에게 직접 기도하거나 그녀의 중재를 구하지 않는다.

그녀는 하느님의 뜻에 순종한 모범으로 존경받지만, 신앙 실천에서 그녀의 역할은 간접적이다.

결론

이슬람교와 가톨릭은 신학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성모마리아(마리얌)는 두 종교의 공통된 믿음 체계에서 중요한 연결고리로,

 

 이슬람교와 가톨릭 모두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녀의 순결함과 헌신은 두 종교의 신자들에게 깊은 영감을 주며

하느님(알라)에 대한 믿음과 순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신앙의 경건함의 이상적인 본보기로 사랑하고 존중한다.

 

이를 통해 신앙과 문화의 다름을 넘어서

성모마리아(마리얌)를 존경하고 사랑하는 연결고리가

가톨릭과 이슬람교,두 종교 간 상호 존중과 이해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