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본능적으로 생존과 번식을 최우선으로 하는 존재입니다.
이러한 본능은 우리의 욕망이 끊이지 않는 이유를 설명해줍니다.
과거 원시 시대에는 생존을 위해 지속적으로 자원을 확보해야 했고,
이는 불확실한 미래를 대비하는 태도로 이어졌습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 본능은 남아 있어, 더 좋은 물건을 얻으려는 욕구로 발현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 번 소유한 물건에 대해서는 금새 흥미를 잃게 되는게 인간의 유전적 속성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은 본능적 심리에 갇힌 채
끊임없는 소비, 끝나지 않는 불만족 속에서 공허해지고
물건으로 채워지지 않는 소유에 대한 욕망의 굴레의 '늪'에 빠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 도파민과 보상의 반복
행동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도파민은
새로운 물건이나 경험을 얻었을 때 우리에게 쾌감을 줍니다.
그러나 도파민의 특징은
지속성이 아니며 도파민이 주는 쾌감은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자극에 둔감해집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동일한 만족을 느끼기 위해 더 자극적이고 새로운 물건을 찾게됩니다.
이것을 '도파민 추구 행동(Dopamine-Driven Behavior)'으로 부르며, 본능적으로 반복되는 패턴입니다.
2. 심리적 요인 : 쾌락의 쳇바퀴(Hedonic Treadmill)
'쾌락의 쳇바퀴'는 인간이 처음에는 특정 상황에서 큰 만족을 느끼지만,
시간이 지나면 그 만족도가 점점 감소하고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 산 고가의 스마트폰은 처음에는 큰 기쁨을 주지만, 곧 평범한 일상의 일부가 되어버립니다..
이는 새로운 자극에 바로 적응하는 인간의 심리적 특성과 도파민의 영향 때문입니다.
3. 사회적 압력 : 비교와 소비문화
현대 사회는 물질적 성공을 행복의 기준으로 삼는 경향이 강합니다.
특히 SNS와 같은 플랫폼은 끊임없이 타인과 자신을 비교하게 만듭니다.
다른 사람이 새로운 물건을 자랑하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더 많은, 더 좋은 물건을 갈구하게 되고 타인의 물질적 삶을 부러워합니다.
이러한 비교는 본능적 경쟁심과 결합해 끝없는 소비로 이어지고자신의 삶을 황폐하게 만드는
소유 욕망의 굴레에 발을 들여놓게 됩니다.
4. 소유 욕망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 내적 만족으로의 전환
끊임없는 소비와 불만족의 악순환을 끊으려면
외적인 자극이 아닌 내적 만족과 내적 가치를 중심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물건을 덜 사고 절약하는 차원을 넘어,
자신의 삶을 더 의미 있고 충만하게 만드는 근본적인 변화입니다.
우리 인간의 본능적, 유전적 심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소유 욕망의 굴레, 물질적 소유가 삶의 참다운 행복과 만족감을 줄 수 없음을 통찰하고
우리 삶을 진정으로 풍요롭고 긍정적 에너지로 가득하게 하기 위한 노려과 실천이 필요합니다.:
▣ 자아 탐색과 진정한 가치 찾기
우리는 종종 외부 환경과 사회적 기준에 의해 자신의 가치를 정의합니다.
하지만 내적 만족을 위해서는 자신이 진정으로 중요하게 여기는 삶의 가치와 목표를 발견해야 합니다.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나는 어떤 상황에서 가장 행복을 느끼는가?"와 같은
질문을 매 순간 스스로에게 던져 보며 진정한 자기 자신의 행복과 가치를 찾아갈 수 있습니다..
삶의 가치 우선순위를 정하여 물질적 소유보다는 가족, 건강, 내적 성장과 같은
내적인 가치를 우선시하는 삶의 목표를 정립해야 합니다.
▣ 경험 중심의 삶으로 전환
연구에 따르면 물질적인 소유보다 경험에서 오는 행복이 더 오래 지속된다고 합니다.
경험은 우리의 정체성과 연결되며, 추억으로 남아 내적 만족감을 증대시켜 줍니다.
새 가방을 사는 대신, 요가 클래스에 등록하거나 가족과 주말 여행을 계획하는 겁니다.
꼭 특별한 이벤트가 아니어도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혹은 혼자서라도
매일의 커피 한 잔, 아침 산책처럼소소한 일상의 순간에서 즐거움을 찾으며
그 과정안에서의 행복감이 내재화될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합니다..
▣ 매 순간 감사하며 현재의 충만함 느끼기
감사는 우리가 이미 가진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매일 저녁 3가지 감사한 일을 기록하는 감사 일기 쓰기도 아주 훌륭한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의 소소한 행복에 주목하게 만들어줍니다.
내가 부족한 것에 포커스를 맞추지 말고 내가 이미 갖고 있는 것에 초점을 두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 사회적 비교, 외적 자극에서 벗어나기
사회적 비교는 만족감을 갉아먹는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SNS는 우리를 끊임없이 비교하게 만들어 내적 가치를 약화시키고 위축되게 만듭니다.
다른 사람의 삶을 부러워하고 관심을 가지며 타인의 SNS 방문을 하기 보다는
자신만의 기준으로 자신의 삶을 가치있게 설계하며 타인의 기준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내적 충만감을 가져야 합니다.
▣ 자신과의 연결 강화: 명상과 마음챙김
명상과 마음챙김은 현재의 순간에 집중하며 외부 자극이 아닌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도록 도와줍니다.
조용한 곳에서 자신의 호흡에 집중하며 마음을 고요히 하는 호흡 명상이나
자신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보내며 스스로를 비난하고 자책하는 대신,
자신을 인정하고 사랑하는 연습을 하는 자비명상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자신의 성장을 위한 투자
물질적 소유가 아닌, 자신의 내적 성장과 발전에 초점을 맞출 때 삶에 대한 더 깊은 만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배움을 찾거나 여행을 통한 다양한 체험, 책 속에서 발견한 수많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생각을 넓히고
봉사활동이나 기부와 같이 자신의 시간과 자원을 나누며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을 한다면
자신의 가치를 찾아가면서 깊은 내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을 것 입니다.
▣ 삶의 단순화: 미니멀리즘 실천
단순한 삶은 내적 가치를 발견하고 물질적 소비의 의존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수 있다고 합니다.
소유하지 않아도 되는 물건을 정리하며, 꼭 필요한 것들만 남겨두는 생활 패턴을 습관화한다면
소유 욕망의 굴레의 악순환에서 벗어나 필요와 욕망을 구분하여
물건을 구매하기 전 자신에게 "이것이 진정 필요한가?"를 물음으로써
욕망이 아닌 필요를 따라갈 수 있는 내재적 힘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입니다.
5. 맺음말: 내적 만족은 더 충만한 삶으로 가는 길
내적 만족은 단순히 소비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삶의 방향성을 내면에 맞추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물질적인 불만족, 소유 욕망의 굴레의 악순환에서 벗어나,
더 충만하고 의미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됩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자신을 성장시키고 타인과 연결되며,
현재의 순간을 즐길 때 가장 깊은 행복을 느낀다고 합니다.
그러므로 아무리 비싸고 좋은 물건이라도 이내 흥미가 떨어지고 더 큰 자극, 더 더 큰 자극을 원하는
도파민의 지속성없는 가짜 행복의 속임수, 소유 욕망의 굴레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삶을 충만하고 행복하게 하고 긍정적 에너지를 오래 유지하게 하는
내면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내적 경험과 사랑이 바탕이 되는 배려와 봉사를 통해
여러분과 제가 우리의 삶을 아름답게 살아가길 희망하며 응원합니다.
'명상♣기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의 나비는 시공간을 초월해 날아와 양자역학을 만났을까? (0) | 2024.12.14 |
---|---|
호르몬의 마법을 넘어선 영원한 사랑 (0) | 2024.12.13 |
우연을 가장한 운명적 메시지 : 싱크로니서티(Synchronicity) (0) | 2024.12.11 |
내 영혼을 살게 하는 기도 : 호오포노포노 (0) | 2024.12.10 |
성서안에 이미 양자역학 (0) | 2024.12.09 |